5. 서버 환경설정하기 (HTTPS 적용)
배포할 서비스 서버에 https 를 적용해보자 먼저 준비할 것은 DNS(Domain Name Server) 주소이다. 도메인 주소란 예를 들어 www.naver.com 과 같이 해당 서버의 이름을 의미한다. 우리의 클라우드 서버는 현재 xx.xxx.xxx.xxx와 같이 IP 주소로 되어있다. 이 IP 주소에 이름을 붙여준 것이 도메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HTTPS 서비스를 서버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도메인 주소가 필요하다. 도메인 주소는 실제로는 구독형 유료 서비스이다.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동안 지불하면서 해당 도메인 주소를 빌려서 사용하는 형식이다. 따라서 희귀하거나 대중적으로 인기있는 도메인은 사용료가 더 비싸지기도 하며, 같은 이름이라도 마지막에 붙은 .com / .net / .org 등에 ..
개발 공부 (시니어코딩)/서비스 서버 구축
2024. 1. 2. 05:23